

안녕하세요! E+Lab입니다.
제로에너지건축물 인증을 준비하면서 “도면 검토는 어려워요”라는 말씀을 자주 듣습니다. 특히 인증을 처음 접하는 실무자라면, 외피 면적이나 조명밀도까지는 익숙하지만 기계·전기 도면은 막연하게 넘기고 마는 경우가 많죠.
하지만 이 한 단계가 인증 보완 여부와 검토 속도에 큰 차이를 만듭니다. 오늘은 기계·전기 도면 중 꼭 봐야 할 항목과 그 이유를 실무자 관점에서 정리해드립니다.
📘 도면 검토의 기본 개념
제로에너지 인증을 위해 자주 활용되는 도면은 다음과 같습니다.
- 기계 도면: 장비일람표, 냉·난방 계통도, 위생 배관도, 환기 평면도 등
- 전기 도면: MCC 결선도, 분전반 결선도, 조명기구 상세도, 원격검침 계통도 등
이 중에서도 실무자가 반드시 확인해야 할 도면은 아래 세 가지입니다.
🔍 실무자가 꼭 확인해야 할 3대 도면
① 장비일람표
냉·난방·급탕 등 어떤 열원(전기, 가스, 지열 등)이 어떤 장비(EHP, GHP, 보일러 등)와 연결되어 있는지 한눈에 파악 가능한 도면입니다.
② MCC 결선도
송풍기, 펌프, 환기팬 등 전기 동력 기반 설비들의 제어 및 배선 구조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.
③ 분전반 결선도
조명, 콘센트, 전열 등 일상 부하의 분전 구조를 파악할 수 있는 도면으로, 전력량계 설치 위치를 확인하는 데 필수입니다.
📌 핵심 차이 요약
항목 | MCC결선도 | 분전반결선도 |
송풍기, 펌프 등 | ✔ | ✘ |
EHP, GHP | ✘ | ✔ |
📎 도면 유형별 확인 포인트
인증은 주로 다음 항목을 기준으로 평가합니다: 냉방, 난방, 급탕, 조명, 환기
그중에서도 아래 예시는 실무에서 자주 마주하는 상황들입니다.
💡 예시 1 : 급탕 설비
- 확인 위치: MCC 결선도
- 포인트: 급탕 순환펌프 유무 + 전기온수기 수량 + 전력량계 존재 여부
🔧 전기온수기 2대에 전력량계 1대 설치 → 적정 구성
🔧 급탕 순환펌프에 대한 동력값 → 에너지흐름도 입력 필요
❄️ 예시 2 : 냉방·난방 설비
- 확인 위치: 분전반 결선도
- 포인트: 실외기 전력량계 분리 여부 + SPARE 회로 사용 방지
⚠ 실외기에 대한 전력량계가 별도 구성되어 있어야 신뢰성 인정
⚠ SPARE에 다른 설비가 사용되는 경우 불가.

💡 예시 3 : 조명 부하
- 확인 위치: 분전반 결선도
- 포인트: 전 분전함에 조명용 전력량계 계획 여부
💡 조명으로 인증을 받기 위해선 전체 부하가 조명으로 계획되어야 합니다.
💡 조명 항목은 초기에 계획되지 않으면 보완 발생 확률이 높습니다.
✏️ 마무리하며
이번 글은 인증 도면 검토가 익숙하지 않은 실무자분들께 실질적인 가이드를 제공하고자 정리했습니다.
‘그냥 접수하는 일’에서 벗어나 ‘핵심을 이해하고 대응하는 실무자’가 되어 보세요.
E+Lab은 여러분과 함께 전략을 고민하고, 실무에 바로 적용할 수 있는 지원을 약속드립니다.
언제든지 문의 주세요!
📧 문의: e-pluslab@naver.com
📞 전화: 010-8217-2846
'제로에너지건축물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제로에너지건축물인증 - 에너지흐름도 작성방법과 계산서 양식 정리 (1) | 2025.05.05 |
---|---|
제로에너지건축물 인증 – 민간건축물 대응 가이드 (0) | 2025.05.03 |
ZEB 5등급 수준 설계, 민간 공동주택도 준비해야 할까? (0) | 2025.04.23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