안녕하세요, E+Lab입니다.
오늘은 녹색건축인증 4.1항목 중
가중치가 높고 실무 반영 시 효과도 큰 빗물관리 항목에 대해 설명드리겠습니다.
많은 분들이 이 항목을 어렵게 느끼시지만,
기본 개념과 시설 기준만 명확히 알면 충분히 대응 가능합니다.
🌧️ 빗물관리 항목의 기본 개념
핵심은 단순합니다.
“대지 위로 떨어진 빗물을 얼마나, 어떻게 관리하고 있는가?”
즉, 자연지반이 아닌 면적에 대해
얼마나 빗물 저감 또는 침투시설이 적용되어 있는지를 평가합니다.
📌 빗물관리면적 계산식
빗물관리면적 = 대지면적 - 자연지반 면적
이 면적을 기준으로,
📊 빗물관리 시설이 적용된 면적 비율을 계산하여 평가합니다.
🏗️ 인정되는 빗물관리 시설 종류
녹색건축인증에서 평가 대상으로 인정되는 시설은 아래와 같습니다:
- 인공지반 녹지
- 구조물 위 조성된 녹지, 유효토심 40cm 이상
- 옥상녹화
- 건물 옥상·지붕 위 조성된 녹지
- 항목 4.1: 유효토심 20cm 이상
- 항목 6.3: 유효토심 40cm 이상
- 투수포장
- 인공지반 위 조성된 보행용 포장
- 유효토심 20cm 이상, 투수계수 0.01 cm/sec 이상
- 침투시설 연계면 (우수조)
- 지붕면과 저류조가 연결된 구조
- 침투시설 연계면 (침투통, 침투트렌치)
- 자연지반과 직접 연결된 침투형 구조물
📌 참고:
4.1 항목과 6.3 항목은 함께 고려해야 하며,
각 항목별 적용 기준(토심 등)을 정확히 구분해야 합니다.
🧩 빗물관리 컨설팅 진행 절차
설계 단계에서 다음과 같은 프로세스로 접근하면 매우 효율적입니다.
1️⃣ 빗물관리 대상 면적 산정
- 대지면적에서 자연지반 면적을 제외
2️⃣ 시설 설치 가능 면적 추출
- 옥상녹화, 투수포장, 인공지반 등 면적 산정
3️⃣ 적용 비율 검토
- 전체 대비 적용 비율 확인 → 목표 등급 충족 여부 판단
4️⃣ 대응 컨설팅 제안
- 목표 비율 달성 시: 각 시설의 세부 조건(토심 등) 확인 및 상세도 요청
- 미달성 시:
① 필요 면적을 각 시설별로 재제안
② 불투수포장이 많을 경우: 침투통, 침투트렌치 제안
③ 아스콘 사용 면적 많을 경우: 투수 아스콘 가능성 검토
📌 도면 검토만으로도 1차 컨설팅은 충분히 가능합니다.
추후에는 도면 샘플과 점수 산정 예시도 별도 포스팅 예정입니다.
💡 마무리하며
빗물관리 항목은 제대로만 접근하면
적은 노력으로 높은 점수를 확보할 수 있는 효율적인 항목입니다.
하지만 많은 설계사, 시공사, 컨설팅사에서 사례 부족이나 기준 미숙지로 인해
취득 가능한 점수를 놓치는 경우가 많습니다.
E+Lab은 실제 적용 사례를 다수 보유하고 있으며,
실무자 중심의 현실적인 컨설팅을 지향합니다.
궁금하신 점이나 이해되지 않는 부분은 언제든지 연락 주세요.
함께 고민하고, 최적의 방향을 제시해 드리겠습니다.
📌 더 다양한 실사 사례와 상세한 도면 설명은
👉 네이버 블로그에서 확인하세요[https://m.blog.naver.com/e-pluslab/223841126649]
📧 문의: e-pluslab@naver.com
📞 전화: 010-8217-2846
'녹색건축인증' 카테고리의 다른 글
녹색건축인증 본인증 서류, 누가 날인해야 할까? – 감리확인서·시공확인서 양식까지 정리 (0) | 2025.05.13 |
---|---|
녹색건축인증 - 2.4 조명에너지 절약(조도계산서), 주의사항 (0) | 2025.05.12 |
녹색건축인증, 미리 준비하세요 – 무료 사전검토 가이드 제공! (2) | 2025.05.08 |
환경성선언(EPD) vs 저탄소 자재, 어디까지 인정될까? (0) | 2025.05.07 |
녹색건축인증 - 2.8 냉방에너지 절감을 위한 일사조절 계획 수립 (1) | 2025.04.24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