난방·냉방·급탕·조명까지 배점 계산 방법
안녕하세요, E+Lab입니다.
탄소중립을 향한 국가 정책이 강화되면서,
이제는 공공기관뿐 아니라 민간 건축물까지
제로에너지 인증 또는 신재생 설비 도입이 점차 의무화되고 있습니다.
특히 에너지절약계획서 작성 시,
신재생설비 항목은 점수 확보를 위해 반드시 검토해야 할 요소인데요.
오늘은
📌 신재생 설비 항목의 평가 기준
📌 각 항목별 정확한 용량 계산 방법
📌 실무 주의사항과 자주 묻는 질문까지
모두 정리해드립니다.
✅ 평가 항목 총 4가지
에너지절약계획서 내 신재생설비 항목은 다음과 같이 구분됩니다:
- 난방설비 용량 대비 신재생 에너지 비율
- 냉방설비 용량 대비 신재생 에너지 비율
- 급탕설비 용량 대비 신재생 에너지 비율
- 조명설비 전력 대비 신재생 에너지 비율
※ 의무화 대상 건축물은 기준의 2배 이상 적용 필요
※ 잉여 전력은 계통연계 필요
🧮 항목별 계산 방식 정리
① 난방·냉방 설비 (지열)
- 해당 설비: 지열히트펌프(GHP, EHP 등)
- 조건: KS 인증 받은 신재생 제품일 것
계산식
✔ 보통 60% 이상 적용 가능해 배점 확보에 유리
② 급탕 설비 (연료전지)
- 해당 설비: 연료전지 시스템
- 조건: KS 인증 신재생 설비
계산식
⚠ 일부 적용에 그치는 경우가 많아 최소 배점 확보가 어려울 수 있음
③ 조명 설비 (태양광)
- 해당 설비: 태양광 / BIPV
- 조건: KS 인증 + 계통연계 필요
계산식
📎 첨부 계산서: 전체조명설비전력 대비 신재생 비율 계산서 제공_하단링크 확인
⚠ 실무 주의사항 요약
- 조명용량: 전체 조명설비 기준
(거실 조명밀도 × 면적만으로 계산하면 안됨!) - 태양광: 조명계통 연결 필수, 단순 설치용량만으로는 불인정
- 보일러 겸용 설비: 난방+급탕 합산 필요
- 인증 제품만 인정: KS 또는 신재생 설비 인증제품만 유효
🙋♂️ 자주 묻는 질문 정리
인접 대지의 태양광도 인정되나요? | 사용 건물의 전력으로 증빙 시 인정 |
동이 여러 개인 경우 한 동에만 설치하면 되나요? | 하나의 에너지절약계획서로 제출 시 가능 |
판매용 태양광도 인정되나요? | 불가. 해당 건물 사용 목적이어야 함 |
태양광으로 EHP 돌리면 냉난방 인정되나요? | 불가. 직접 열원 제공 설비만 인정 |
태양열 시스템으로 냉방 연결하면? | 냉방은 불가, 난방용 배점은 가능 |
🏁 마무리하며
신재생설비 항목은 앞으로의 건축 설계에서
중요한 인증 포인트이자 실제 설비 결정에 영향을 주는 요소입니다.
초기 계획 단계부터 정확하게 계산하고 설계에 반영한다면,
이행검토서 단계에서도 추가 보완 없이 통과할 수 있는 점수를 확보할 수 있습니다.
📌 실무에 필요한 계산서, 점수표, 적용 예시는
E+Lab이 제공해드리는 자료를 활용해보세요!
📌 첨부자료는 E+Lab 네이버 블로그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.
📌 더 다양한 실사 사례와 상세한 도면 설명은
👉 [네이버 블로그에서 확인하세요](https://m.blog.naver.com/e-pluslab/223817307056)
📧 문의: e-pluslab@naver.com
📞 전화: 010-8217-2846
'에너지절약계획서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에너지절약계획서 – 열손실방지 조치 예외사항 (0) | 2025.04.22 |
---|---|
에너지절약계획서 – 열손실방지 조치, 안 하면 정말 괜찮을까? (0) | 2025.04.21 |
에너지절약계획서 - 수수료 납부 절차 (0) | 2025.04.20 |
에너지절약계획서 – 바닥단열재 설치 기준 완벽 정리 (0) | 2025.04.20 |
에너지절약계획서 – 방풍구조 한 번에 이해하기 (0) | 2025.04.19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