안녕하세요, E+Lab입니다.
설계사무소나 친환경 컨설팅 업무를 하시는 분들이라면
단열 두께를 어떻게 정해야 할지 한 번쯤 고민해보셨을 겁니다.
에너지절약계획서는 일반사항, 의무사항, 성능지표 제출 여부에 따라 적용 기준이 달라지고,
그에 따라 단열재 종류와 두께도 달라질 수 있습니다.
오늘은 실무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는 단열재 기준으로
- 외벽: 창면적비 + 배점에 따라
- 지붕·바닥: 배점 기준에 따라
기본적으로 제안 가능한 단열두께를 정리해드리겠습니다.
📌 [별표2 기준] 단열재의 등급 분류 기준
단열재는 크게 열전도율에 따라 가~라 등급으로 나뉘며,
‘등급 기준 두께 이상 적용’ 또는 ‘법적 열관류율 충족’ 중 한 가지를 만족하면 됩니다.
등급
분류 |
열전도율의 범위
(KS L 9016에 의한 20±5℃ 시험조건에서 열전도율) |
관련 표준
|
단열재 종류
|
|
W/mK
|
㎉/mh℃
|
|||
가
|
0.034 이하
|
0.029 이하
|
KS M 3808
|
- 압출법보온판 특호, 1호, 2호, 3호
- 비드법보온판 2종 1호, 2호, 3호, 4호 |
KS M 3809
|
- 경질우레탄폼보온판 1종 1호, 2호, 3호 및 2종 1호, 2호, 3호
|
|||
KS L 9102
|
- 그라스울 보온판 48K, 64K, 80K, 96K, 120K
|
|||
KS M ISO 4898
|
- 페놀 폼 Ⅰ종A, Ⅱ종A
|
|||
KS M 3871-1
|
- 분무식 중밀도 폴리우레탄 폼 1종(A, B), 2종(A, B)
|
|||
KS F 5660
|
- 폴리에스테르 흡음 단열재 1급
|
|||
기타 단열재로서 열전도율이 0.034 W/mK
(0.029 kcal/mh℃) 이하인 경우 |
||||
나
|
0.035~0.040
|
0.030~0.034
|
KS M 3808
|
- 비드법보온판 1종 1호, 2호, 3호
|
KS L 9102
|
- 미네랄울 보온판 1호, 2호, 3호
- 그라스울 보온판 24K, 32K, 40K |
|||
KS M ISO 4898
|
- 페놀 폼 Ⅰ종B, Ⅱ종B, Ⅲ종A
|
|||
KS M 3871-1
|
- 분무식 중밀도 폴리우레탄 폼 1종(C)
|
|||
KS F 5660
|
- 폴리에스테르 흡음 단열재 2급
|
|||
기타 단열재로서 열전도율이 0.035~0.040 W/mK (0.030~ 0.034 ㎉/mh℃)이하인 경우
|
||||
다
|
0.041~0.046
|
0.035~0.039
|
KS M 3808
|
- 비드법보온판 1종 4호
|
KS F 5660
|
- 폴리에스테르 흡음 단열재 3급
|
|||
기타 단열재로서 열전도율이 0.041~0.046 W/mK (0.035~0.039 ㎉/mh℃)이하인 경우
|
||||
라
|
0.047~0.051
|
0.040~0.044
|
기타 단열재로서 열전도율이 0.047~0.051 W/mK (0.040~0.044 ㎉/mh℃)이하인 경우
|
가등급 | 0.034 이하 | PF보드, 고밀도 우레탄, 고성능 글라스울 등 |
나등급 | 0.035~0.040 | 일반 EPS, 중밀도 글라스울 등 |
다등급 | 0.041~0.046 | 비드법보온판 일부 등 |
라등급 | 0.047~0.051 | 저가 보온재 |
📌 열관류율 계산보다 등급기준 적용 시 더 두꺼운 단열이 요구될 수 있으므로,
기본점수 확보용으로는 법적 열관류율 충족 기준 적용이 유리합니다.
🧱 [별표3 기준] 부위별 단열두께 (중부2지역)
건축물의 부위
|
가
|
나
|
다
|
라
|
거실의 외벽 (외기에 직접 면하는 경우, 공동주택)
|
190
|
225
|
260
|
285
|
거실의 외벽 (외기에 직접 면하는 경우, 공동주택 외)
|
135
|
165
|
180
|
200
|
거실의 외벽 (외기에 간접 면하는 경우, 공동주택)
|
130
|
155
|
175
|
195
|
거실의 외벽 (외기에 간접 면하는 경우, 공동주택 외)
|
90
|
105
|
120
|
135
|
최상층에 있는 거실의 반자 또는 지붕 (외기에 직접 면하는 경우)
|
220
|
260
|
295
|
330
|
최상층에 있는 거실의 반자 또는 지붕 (외기에 간접 면하는 경우)
|
155
|
200
|
230
|
255
|
최하층에 있는 거실의 바닥 (외기에 직접 면하는 경우, 바닥난방인 경우)
|
190
|
220
|
255
|
285
|
최하층에 있는 거실의 바닥 (외기에 직접 면하는 경우, 바닥난방이 아닌 경우)
|
165
|
195
|
240
|
245
|
최하층에 있는 거실의 바닥 (외기에 간접 면하는 경우, 바닥난방인 경우)
|
125
|
150
|
185
|
215
|
최하층에 있는 거실의 바닥 (외기에 간접 면하는 경우, 바닥난방이 아닌 경우)
|
110
|
130
|
160
|
180
|
바닥난방인 층간바닥
|
30
|
35
|
45
|
50
|
🧱 중부2지역 단열재 종류별, 배점별, 단열두께 제안사항
📎 기준은 콘크리트 두께 150mm를 가정했으며,
스팬드럴 부위나 지붕패널 구간 등은 구조체 조건에 따라 오차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.
🪟 창면적비 + 외벽 배점 전략
외벽 단열 두께는 창면적비에 따라 조정 가능합니다.
- 창면적비 40% 이하 → 0.6배점 기준으로 단열두께 확보 가능
- 창면적비 45% 이상 → 반드시 창호 성능과 병행 검토 필요
✔ 외벽 vs 창호 열관류율 비교
- 외벽: 0.18~0.21 W/㎡·K
- 창호: 0.80~1.50 W/㎡·K → 무려 5~10배 차이!
→ 무조건 단열로 커버하려 하면 두께가 과도해지므로,
창호 성능 향상이 핵심 해결책입니다.
🏗 지붕 배점 기준 & 단열두께
배점이 곧 열관류율 기준입니다.
중부2지역 기준으로 제안 가능한 지붕 단열 기준은 아래와 같습니다.
1.0 배점 | 0.090 |
0.9 배점 | 0.100 |
0.8 배점 | 0.110 |
0.7 배점 | 0.130 |
0.6 배점 | 0.150 |
📎 면적비율(직면/간면)에 따라 미세조정 가능
E+Lab에서는 실 프로젝트 조건에 따라 최적 두께를 바로 계산해드립니다.
🧱 바닥 배점 기준 & 설계 주의점
1.0 배점 | 0.120 |
0.9 배점 | 0.130 |
0.8 배점 | 0.150 |
0.7 배점 | 0.170 |
0.6 배점 | 0.210 |
✔ 바닥난방 시 열관류율 역수의 60% 이상을 슬래브 하부 단열로 확보해야 함
✔ 외기직면 + 간면 혼합 시 실내 단차 발생 가능 → 구조 검토 필요
✔ 슬래브 상단 두께 한계 → 단열재 등급 조정이 핵심 대안
⚠ 실무자 팁 요약
- 단열 기준은 등급/열관류율/배점/면적비가 유기적으로 작동합니다.
- 특히 중부2지역은 조건이 복합적이기 때문에 성능지표용 계산서 기반 제안이 가장 정확합니다.
- E+Lab에서는 프로젝트 조건에 맞는 단열두께를 즉시 제공하고 있으며,
도면만 전달하시면 적용 가능한 최적 두께로 제안드립니다.
📌 첨부자료는 E+Lab 네이버 블로그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.
📌 더 다양한 실사 사례와 상세한 도면 설명은
👉 [네이버 블로그에서 확인하세요](https://m.blog.naver.com/e-pluslab/223816080003)
📧 문의: e-pluslab@naver.com
📞 전화: 010-8217-2846
'에너지절약계획서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에너지절약계획서 – 방풍구조 한 번에 이해하기 (0) | 2025.04.19 |
---|---|
에너지절약계획서 - 부위별 열관류율 계산서 & 평균 열관류율 계산서 사용 가이드 (1) | 2025.04.19 |
에너지절약계획서 - 남부지방 단열기준, 한눈에 정리 (0) | 2025.04.17 |
에너지절약이행검토서, 꼭 확인해야 할 5가지 (0) | 2025.04.16 |
에너지절약계획서, A부터Z 까지! (0) | 2025.03.28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