에너지절약계획서 - 부위별 열관류율 계산서 & 평균 열관류율 계산서 사용 가이드

 

E+Lab 실무 양식 공유

안녕하세요, E+Lab입니다.

에너지절약계획서 작성 시,
“이 계산서 양식이 왜 필요한가요?”라는 질문을 자주 받습니다.

사실 이 양식은 단순한 서식이 아니라,
인허가 통과의 핵심 근거 자료이자
설계자가 법적 기준을 충족하고 있다는 것을 보여주는 계산서입니다.

오늘은 E+Lab에서 자체 개발한
✅ 부위별 열관류율 계산서
✅ 평균 열관류율 계산서
두 가지 양식의 사용법과 실무 포인트를 정리해드립니다.


📂 부위별 열관류율 계산서란?

건축물의 각 부위(외벽, 지붕, 바닥 등)에 대해
적용된 재료와 두께를 기반으로 열관류율을 산출하는 문서입니다.

📎 이 계산서가 필요한 이유:

  • 설계가 법적 기준을 충족하는지 정량적으로 입증
  • 세움터 입력 시, 소수점까지 정확하게 일치시키기 위한 기준

🗺 먼저 지역 구분부터!

양식 내 지역구분 항목에서
중부1 / 중부2 / 남부 / 제주 중 해당 지역을 선택하면
각 부위의 법적 기준 열관류율이 자동으로 반영됩니다.

지역명주요 적용 시/도
중부1 연천, 제천, 봉화 등
중부2 서울, 인천, 세종, 전북 등
남부 부산, 광주, 대구, 전남 등
제주 제주도 전체

📌 입력 항목 요약

항목설명
부위 외벽, 지붕, 바닥 등 선택
직접/간접 외기 접촉 여부 입력
재료 콘크리트, 단열재 등 재료명 선택
두께 재료별 두께 (mm 단위)
창호 시험성적서 기준 열관류율 입력

모든 항목을 입력하면, 자동으로 적용 열관류율 계산이 완료됩니다.


📊 평균 열관류율 계산서란?

부위별 열관류율이 산출된 후,
각 부위의 면적과 비율을 반영하여 평균 열관류율을 산출하는 계산서입니다.

즉,
전체 건물의 평균 열성능을 수치화하는 것이 핵심입니다.

✔ 작성 절차

  1. 부위별 계산서에서 산출된 열관류율을 평균 시트에 연결
  2. 각 부위 면적 입력
  3. 자동으로 평균 열관류율 + 배점 계산 완료!

📌 실무 포인트

  • 층수, 형별 갯수, 실별 면적이 프로젝트마다 다르기 때문에
    평균 시트 연결은 자동이 아닌 직접 입력 권장
  • E+Lab 양식은 지역 기준값 + 배점 계산까지 자동화되어 있어,
    실무에서 속도와 정확성을 모두 확보할 수 있음

✅ 이런 분들께 추천합니다

  • 에너지절약계획서 초안 작성이 처음이신 분
  • 형별성능내역 도면 작성 시, 기준 충족 여부가 걱정되시는 분
  • 단열재와 창호 스펙 입력 시 수치 산정이 어렵게 느껴지는 분

이 양식 하나면 설계 검토 → 세움터 등록까지 한 번에 진행 가능합니다.


🔍 양식 다운로드 및 요청 안내

🧾 비주거용 샘플 양식은 아래 링크에서 다운로드 가능
주거용 버전은 별도 요청 시 제공해드립니다.

📧 문의: e-pluslab@naver.com


📌 더 다양한 실사 사례와 상세한 도면 설명은
👉 [네이버 블로그에서 확인하세요](https://m.blog.naver.com/e-pluslab/223815907867)
📧 문의: e-pluslab@naver.com
📞 전화: 010-8217-2846