에너지절약이행검토서, 꼭 확인해야 할 5가지

타이틀
이플러스랩 티스토리 운영중단으로, 네이버 블로그에서 더 자세하게 알아보세요.

📍 안녕하세요, E+Lab입니다.
준공이 다가오면 시공사나 감리단에서 가장 많이 묻는 질문이 있습니다.

  • “이행검토서는 누가 써야 하나요?”
  • “제출 시기는 언제인가요?”
  • “이게 없으면 준공 승인이 안 나오나요?”

이러한 궁금증을 한 번에 정리해드립니다.
오늘은 에너지절약이행검토서의 개념, 작성 주체, 절차까지 차근차근 알려드릴게요.


📝 1. 이행검토서란?

건축허가 단계에서 제출한 에너지절약계획서의 실현 여부를 확인하는 문서입니다.
설계 당시 계획한 에너지 절감 요소들이 실제 시공 과정에서도 잘 반영되었는지 검토하는 절차죠.

요약하면:
"계획은 계획이고, 시공은 실제다. 실제로 잘 지켜졌는지 확인하자!"는 마지막 검토서입니다.


🧑‍🔧 2. 누가 작성하나요?

구분작성자
인허가 시 설계사에서 '에너지절약계획서' 작성
준공 시점 감리자, 기술사, 설계자 중 1인 작성 가능

※ 소규모 건축의 경우 감리자가 전기/기계 파트를 겸임하는 경우도 많습니다.


📂 3. 작성 시 필요한 준비자료

  • 건축허가일 및 해당 시점의 설계기준
  • 인허가 도면 및 성능점수표
  • 준공도면 (건축, 기계, 전기)
  • 에너지절약계획서 갑지
  • 필요 시: 성능 재산정 근거자료

※ 갑지 및 근거도면이 없더라도 작성은 가능하지만, 정확도는 떨어질 수 있습니다.


🧾 4. 이행검토서 작성 절차

① 세움터 접속 후 '의제협의사항' 메뉴로 진입
→ '에너지절약이행검토서' 탭 선택

세움터 화면_1

② 일반사항 입력

  • 외벽, 냉난방 면적 확인 (갑지 참조 또는 재산정)
  • 허가일에 맞는 고시 기준 선택 (예: 2024-1026호 등)

세움터 화면_2

③ 건축, 기계, 전기 각 분야 성능 검토

  • 계획과 시공이 동일한 경우 → 기존 도면 기준으로 작성
  • 변경사항 있을 경우 → 전면 재산정 필요
*항목재작성 필요 조건
단열재, 창호 변경 형별성능내역 + 외피전개도 재작성
냉난방기기 성능 변경 기계부분 성능표 재작성
조명기기 사양 변경 조명밀도 및 LED 비율 재계산

⚠️ 5. 실무 주의사항

  • 인허가 당시 점수가 65/74점에 딱 맞춘 경우, 실제 시공에서 한 항목이라도 미달되면 전체 점수 미달 가능성이 높습니다.
  • 이런 경우, 준공 승인 자체가 보류될 수 있습니다.

📌 E+Lab에서는 건축, 기계, 전기 모든 분야의 이행검토서 작성 지원이 가능합니다.


✉ 마무리하며

이행검토서는 단순한 형식 문서가 아니라, 건축물의 에너지 성능을 실질적으로 확인하는 마지막 단계입니다.
계획과 시공의 간극을 최소화하는 것이 중요합니다.

E+Lab에서는 실무 중심의 에너지 컨설팅 사례를 계속 업데이트 중입니다.
관심 있는 분들의 방문을 환영합니다!

이플러스랩 배너